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주 Top10 알아보기

by 어쩌다 뉴스 2025. 2. 1.
반응형

미국의 전기차 지원금이 없어진다고 해도 2025년에도 여전히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기차(EV) 중심으로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탄소중립 정책 강화, 전기차 배터리 기술 발전, 충전 인프라 확대 등으로 인해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성장이 기존 가솔린, 디젤 등 엔진기반차 및 내연기관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인데 이에 따른 국내 전기차 관련주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투자를 고려해보도록 하자. 

전기차&배터리 관련 주 Top 10
전기차&배터리 관련 주 Top 10

2025년 전기차 산업 트렌드

1) 전기차 시장 성장 전망

  •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는 2024년 대비 2025년 약 20% 이상 성장 예상
  • 미국, 유럽, 중국을 중심으로 전기차 보조금 및 인프라 투자 지속 확대
  • 자율주행 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전기차 시장 확장

2) 배터리 기술 발전

  •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본격화 → 안전성 향상 및 주행거리 증가 기대
  •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택 증가 → 원가 절감 및 배터리 수명 연장
  •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확대 → 자원 순환을 통한 원가 절감 및 친환경 기술 강화

3) 충전 인프라 확장

  • 초급속 충전소 확대 및 충전 속도 향상
  • 무선 충전 기술 개발 가속화
  • 글로벌 완성차 업체 및 전력회사들의 충전 네트워크 구축 경쟁

4) 주요 완성차 업체 동향

  • 테슬라: 새로운 배터리 기술 도입, 저가형 모델 출시 계획, 지속적인 공급확대 전략, 기존 라인업에 새로운 신규 라인업 구축하여 BYD와의 경쟁에서 확고한 우위 점하기 위한 전략세울 예정
  • BYD: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및 배터리 내재화 전략 추진, 중국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급성장 중, 테슬라와의 격차를 줄이면서도 BYD 만의 특색을 살리는 방향 고려 중

2025년 유망 전기차 관련주 리스트

 

LG에너지솔루션 373220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글로벌 배터리 공급 확대
삼성SDI 006400 배터리 고성능 배터리 및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 공급 증가
SK온 (SK이노베이션) 096770 배터리 미국 및 유럽 배터리 공장 확장 및 글로벌 점유율 증가
포스코퓨처엠 003670 배터리 소재 배터리 양극재·음극재 생산 확대 및 공급망 안정화
현대차 005380 완성차 전기차 플랫폼 E-GMP 기반 차량 생산 증가
기아 000270 완성차 EV6, EV9 등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 및 판매 증가
HL만도 204320 전장부품 전기차용 자율주행 부품 및 서스펜션 공급 확대
삼화콘덴서 001820 전장부품 전기차용 콘덴서 생산 증가 및 글로벌 시장 확대
대보마그네틱 290670 배터리 리사이클링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확대 및 친환경 배터리 소재 공급
씨아이에스 222080 2차전지 장비 전기차 배터리 제조 공정 장비 공급 증가
 
 

LG에너지솔루션 (373220)

투자 포인트: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2위 (CATL에 이어 2위)
  •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차세대 배터리 기술 도입
  • 미국, 유럽, 중국 등 글로벌 배터리 공장 증설

리스크 요인:

  • 배터리 원자재 가격 변동성
  • 경쟁사(CATL, BYD, 파나소닉)와의 기술 경쟁 심화

삼성SDI (006400)

투자 포인트:

  • 원통형 배터리(4680 배터리) 생산 확대
  • 테슬라 및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의 협력 강화
  •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및 특허 출원 증가

리스크 요인:

  • 신규 배터리 기술 상용화 지연 가능성
  • 원재료(리튬, 니켈) 가격 상승으로 인한 비용 부담

SK온 (SK이노베이션, 096770)

 

투자 포인트:

  • 배터리 내재화 전략 및 미국·유럽 시장 확장
  • 글로벌 완성차 업체(포드, 폭스바겐)와의 장기 계약 체결
  • 고성능 배터리(BMS, LFP 배터리) 개발 진행

리스크 요인:

  • 공장 증설에 따른 투자 비용 증가
  • 배터리 안전성 문제 발생 시 기업 신뢰도 하락 가능성

포스코퓨처엠 (003670)

 

투자 포인트:

  • 배터리 양극재·음극재 생산 확대
  • 리튬, 니켈 등 핵심 소재의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리스크 요인:

  •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동 가능성
  • 글로벌 배터리 업체들과의 경쟁 심화

현대차 (005380)

투자 포인트:

  •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 기반의 다양한 모델 출시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등)
  • 북미 및 유럽 공장 확대 및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을 위한 현지 생산 강화
  • 자율주행 기술 적용 확대 및 로보택시 시장 진출
  • 수소차 시장 진출과의 시너지 효과 기대

리스크 요인:

  • 배터리 원가 부담 상승에 따른 차량 가격 인상 가능성
  •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자동차 판매량 감소 위험
  • 미국·유럽 시장 내 기존 완성차 업체들과의 경쟁 심화

기아 (000270)

투자 포인트:

  • E-GMP 기반 전기차 EV6, EV9 성공적인 출시 및 글로벌 판매 증가
  • 2025년까지 전기차 전용 모델 10종 이상 출시 계획
  • 전기차 생산시설 확대 및 유럽·북미 시장 점유율 확대
  • PBV(Purpose Built Vehicle) 사업 확장 및 전기차 기반 상용차 개발

리스크 요인:

  • 글로벌 원자재 가격 변동으로 인한 생산 비용 증가
  •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소비자 불편
  •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성장 속도 둔화 가능성

HL만도 (204320)

 

투자 포인트:

  • 전기차 서스펜션 및 제동 시스템 공급 확대
  •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와 협력하여 자율주행 부품 공급 증가
  • 스마트 모빌리티 및 전동화 부품 사업 확장

리스크 요인:

  • 전기차 판매 둔화 시 부품 수요 감소 가능성
  • 자율주행 기술 발전 속도에 따른 시장 변화 대응 필요

 

삼화콘덴서 (001820)

투자 포인트:

  •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핵심 전력 부품 공급
  • 전기차용 고용량 콘덴서 개발 및 생산 확대
  • 해외 완성차 브랜드와의 장기 공급 계약 체결

리스크 요인:

  • 원자재(알루미늄, 구리) 가격 변동 리스크
  • 전기차 시장 성장 속도에 따른 매출 변동 가능성

대보마그네틱 (290670)

 

투자 포인트:

  •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시장 선점
  •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원가 절감 및 수익성 개선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과 협력 확대

리스크 요인:

  • 리사이클링 공정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투자 부담
  • 전기차 배터리 회수 시스템 구축에 따른 초기 비용 증가

씨아이에스 (222080)

투자 포인트:

  • 전기차 배터리 제조 공정 장비 시장 확대
  • 2차전지 생산라인 자동화 솔루션 개발
  • 글로벌 배터리 업체 및 완성차 브랜드와 협력 증가

리스크 요인:

  •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 둔화 시 장비 수요 감소 가능성
  • 해외 경쟁업체와의 기술 경쟁 심화

전기차 투자 시 유의할 점

전기차도 여러가지 리스크가 존재한다. 크게 5가지로 나눠볼 수 있을 것이며 이런 부분을 고려한 거시경제에 대한 관점을 고민해봐야 할 듯하다.

  1. 전기차 시장 성장 속도: 전기차 보급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지면 관련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될 수 있음.
  2. 배터리 원자재 가격 변동성: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배터리 제조사의 수익성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3. 정부 정책 변화: 전기차 보조금 축소, 환경 규제 변화 등이 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4. 기술 경쟁 심화: 전고체 배터리, 충전 기술 등에서 기술 경쟁이 심화될 경우 특정 기업이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이 있음.
  5.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 관계: 배터리 및 부품 공급업체는 특정 완성차 업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협력 관계 변화가 기업 실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은 2025년에도 여전히 뜨거운 분야다. 배터리, 완성차, 전장부품, 충전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이든 개인이든 투자 기회가 존재하는데 개별 기업이 각자 다른 영역에서 연구개발과 새로운 제품을 춣시하고 있으니 이런 부분을 모니터링하고 시장조사를 해서 투자하면 긍정적 수익이 기대된다.

반응형